[Arduino] 아두이노 IDE 설치법과 기본 사용법
아두이노 보드가 있다면 노트북과 연결하는게 인지상정!
그렇담 아두이노 연결을 위해 어떤 것을 깔아야 하냐면.....
Software
Open-source electronic prototyping platform enabling users to create interactive electronic objects.
www.arduino.cc
링크로 접속하면 DOWNLOAD OPTIONS 가 뜬다.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클릭하자.
필자는 윈도우를 사용하여 Windows Win 7 and newer를 클릭함.
여기서 뜨는 창을 보고 돈을 내야하나?! 두려워 할 수 있는데 그저 donation 일뿐...
바로 설치를 원한다면 JUST DOWNLOAD를 클릭해준다.
다운 받으면 바로 exe 파일이 설치된다.
실행하면 끝!
... 인줄 알았으나
아두이노 보드를 연결하고 코드를 작성한 후 실행하다보면
'스케치를 업로드 하는 동안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와 같은 에러를 확인 할 수 있다.
툴에 들어가서 사용하는 보드와 연결 된 포트 번호 설정을 꼭 해야 하고,
아두이노 호환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호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CH341SER.ZIP - 南京沁恒微电子股份有限公司 (wch.cn)
CH341SER.ZIP - 南京沁恒微电子股份有限公司
CH340/CH341USB转串口WINDOWS驱动程序,内含DLL动态库及非标准波特率的设置等使用说明,支持32/64位 Windows 10/8.1/8/7/VISTA/XP,SERVER 2016/2012/2008/2003,2000/ME/98,通过微软数字签名认证,支持USB转3线和9线
www.wch.cn
링크에서 CH341SER을 다운받아서 SETUP.EXE를 실행시킨 후,
INSTALL을 통해 설치를 완료해준 후에
제어판-장치관리자-포트에서
USB-SERIAL CH340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제 문제 없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좌측부터 버튼 설명까지만 마치고 포스팅을 끝내도록 하겠다.
- 컴파일 : 보드와의 연결, 라이브러리 추가 등의 검사
- 업로드 : 코드에 대한 에러 검사, 아두이노 보드에 업로드
- 새파일 : 새로운 스케치 생성
- 열기 : 작성된 스케치 열기
- 저장 : 작성한 스케치 저장하기
- 시리얼 모니터 : 모니터 창을 열어 시리얼 통신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