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 the limit
[AWS] VPC 구축하기 본문
VPC란?
- VPC(Virtual Private Cloud)는 AWS Cloud 내부에서 구성되는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이다.
- 기본적으로 AWS에서 존재하는 default VPS도 있지만, 사용자가 새롭게 생성하여 IP, VPC 범위 선정 및 서브넷을 추가한 라우트 테이블 구성이 가능하다.
Subnet이란?
- VPC 내부에서 나누어 가진 영역들. VPC = Public + Private
- Public :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로 접속이 가능, Public IP와 Elastic IP를 보유한 인스턴스를 가질 수 있다.
- Private : Private 서브넷 내부의 인스턴스들은 오직 다른 서브넷과만 연결이 가능하다.
VPC 구축하기
1. VPC 대시보드에서 VPC 생성
2. 서브넷 및 라우팅 테이블 생성
+) VPC설정-생성할 리소스-VPC등 으로 생성하면
VPC + 서브넷 + 라우팅 테이블 + 게이트웨이attach 까지 자동 생성된다.
생성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브넷
- Public subnet A: 10.0.0.0/24 (ap-northeast-2a)
- Public subnet B: 10.0.1.0/24 (ap-northeast-2c)
- Private subnet A: 10.0.2.0/24 (ap-northeast-2a)
- Private subnet B: 10.0.3.0/24 (ap-northeast-2c)
라우팅 테이블
- External-rt: Public subnet의 라우팅 테이블
- Internal-rt: Private subnet의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 테이블?
- 라우터/라우팅 테이블은 목적지로 향하게 하는 이정표이다. 네트워크 요청이 발생하면 데이터는 라우터로 향한다.
그리고 이때 향한 데이터가 라우팅 테이블에 의해 작동한다.
인터넷 게이트웨이 설정
- VPC 생성이 끝이 아니다! VPC 자체는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VPC와 인터넷을 연결해주어야 한다.
- 라우팅 테이블은 가장 먼저 목적지의 주소가 10.0.0.0/16(Local) 에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매칭되지 않는다면 인터넷 게이트웨이(IGW)로 보낸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Kubernetes (0) | 2023.01.19 |
---|---|
[AWS] Bastion Host (0) | 2023.01.12 |
[AWS] MFA 설정 (0) | 2023.01.10 |
[AWS] RDS와 EC2 연동하기 (0) | 2022.05.03 |
[AWS] 내 pc에서 RDS 접속하기 (0) | 202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