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ops/Terraform (3)
Over the limit

https://registry.terraform.io/browse/providers이곳에서 cloud, container, monitoring 등 정말 많은 서비스들과 연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Provider란Terraform에서 특정 인프라 서비스(AWS, Azure, Google Cloud 등)와의 통신을 담당함. 각 클라우드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API 호출을 추상화하고, Terraform이 해당 리소스를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 도와줌.Provider 사용 방법Terraform 설정 파일에서 provider 블록을 정의하여 사용함. 예를 들어, AWS Provider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함provider "aws" { region = "us-west-2"} 해당 Prov..

테라폼은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한다.이를 사용하면 클라우드 인프라를 정의하고, 프로비저닝 가능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언어는 선언형 언어인 HCL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정의하고, AWS,Azure,GCP등 다양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지원한다. 테라폼 환경을 위한 기본 문서를 작성 후 terraform init을 통해 모듈과 플러그인을 설치 후 lock file이 추가됨과 동시에, 어떤 버전을 사용해서 설정을 했는지 파일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terraform plan을 입력하면 +create과 함께 어떤걸 create할 지 목록이 나온다. terraform apply 를 입력하면 이를 ..
1. 기본 구조테라폼의 기본 구성 요소는 주로 .tf 파일에 작성되며, 각 파일은 인프라를 정의하는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주요 블록은 provider, resource, variable, output, data 등이 있습니다. 2. Provider 설정프로바이더는 테라폼이 어떤 클라우드 서비스나 플랫폼에 적용되는지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AWS에 대한 프로바이더를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provider "aws" { region = "us-west-2" # 사용할 AWS 리전 설정 access_key = "YOUR_ACCESS_KEY" # AWS 액세스 키 (환경 변수나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 secret_key = "YOUR_SECRET_KEY" # 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