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 (13)
Over the limit
🛠️ Traceroute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인터넷에서 특정 서버에 접속하려고 할 때,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거쳐 가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Traceroute는 이런 경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진단 도구로, 패킷이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Traceroute란?Traceroute는 사용자가 입력한 IP 주소나 도메인까지 패킷이 이동하는 경로를 확인하는 명령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는 지점이나 특정 구간에서의 장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raceroute를 사용하면 알 수 있는 것✔ 패킷이 지나가는 라우터의 IP 주소✔ 각 구간(홉, Hop)별 응답 속도(RTT, Round Trip Time)✔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거나 지연되는 구간Traceroute는 네트..
HSTS란? 왜 필요한가?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사이트가 HTTPS를 강제하도록 하는 보안 기능이다. 이를 적용하면 브라우저가 무조건 HTTPS로만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보안 수준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HSTS 장점1️⃣ 데이터 유출 방지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해커가 중간에서 정보를 가로챌 위험이 있다.HSTS를 적용하면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HTTP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민감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줄인다.2️⃣ 중간자 공격(MITM) 차단HTTPS를 사용하면 웹사이트의 암호화 인증서를 브라우저가 직접 검증하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HSTS의 동작 방식1..
[ping] ping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ICMP (TCP/IP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패킷을 보내서 대상 호스트가 응답하는지 확인한다.주로 네트워크 상태나 지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언급한 ICMP 프로토콜이 3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이므로, 4계층의 Transport layer에서 사용하는 port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그래서 ping 명령어로는 포트가 열려있는지 까지는 확인할 수 없다. 사용법ping [옵션] 대상_IP_또는_도메인 옵션 -c [횟수]: 특정 횟수만큼 핑을 보냄 (리눅스)-t [횟수]: TTL(Time To Live) 값을 설정하여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홉의 수를 제한 (윈도우는 -n) 주요 기..

Tomcat 서버의 8088 포트가 Windows 방화벽에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한다.방화벽 인바운드 재설정을 통해 TCP 포트를 열어보자 방화벽에서 좌측 고급 설정을 클릭 그럼 다음과 같은 환경이 요로코롬 나온다 좌측의 인바운드 규칙을 클릭 후, 우측의 새 규칙 을 클릭 규칙 종류를 포트로 설정 후, TCP 포트 8088을 오픈해준다. 모든 연결을 허용하고 이름까지 지어주면 완료 참 쉽죠잉?
1. 아키텍처의 주요 구성 요소1)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시스템을 직접 설정 및 관리. (예: AWS EC2, Azure VM, Google Compute Engine)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며, 인프라는 관리되지만 개발자는 코드 작성에만 집중. (예: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SaaS (Software as a Service): 최종 사용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예: Gmail, Office 365, Salesforce)2) 클라우드 배포 모델Publ..
라우팅이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봤는데, 정작 제대로 설명하기가 어려운 것 같다.오늘은 라우팅에 대해 정리해보자 라우팅이란?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컴퓨터는 노드라고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노드 간의 통신은 여러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라우팅은 미리 정해진 규칙을 사용하여 최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다. 라우팅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의 효율성을 높이고, 장애 발생 시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며 서버가 중단될 수 있는데, 라우팅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관리하여 장애를 최소화 시킨다. +)Route =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한 길, 경로' 라우터컴퓨팅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디바이스. 말그대로 Route를 하는 기..
로드 밸런서와 CDN 공통점- 프로그램과 사용자간의 원활한 데이터 흐름 전개를 도와줌- 서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배포 가능 https://xean.tistory.com/159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란 ?로드밸런서란?서버나 장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작은 시스템이 많이 있는 상태여도, 사용자는 서버 배치와 상관없이 하나의 서비스로 보여야하며,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는 서xean.tistory.comhttps://xean.tistory.com/158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CDN이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빠르게 배포하기 위한 콘텐츠 가속 솔루션이다. 사용자가 ..

로드밸런서란?서버나 장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작은 시스템이 많이 있는 상태여도, 사용자는 서버 배치와 상관없이 하나의 서비스로 보여야하며,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는 서버들을 로드밸런서가 다운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 많은 트래픽이 몰릴 경우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고, 서버가 다운되어 서비스가 작동을 멈출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단 방식을 사용 1) Scale Up 스케일 업기존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킴. CPU나 메모리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을 포함 2) Scale Out 스케일 아웃작업을 여러대 서버에 분산시켜서 처리하는 방법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 1. 정적 로드 밸런싱1) 라운드 로빈 방식(Round Robin Met..

CDN이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빠르게 배포하기 위한 콘텐츠 가속 솔루션이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웹 사이트 서버의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이동해야하는데, 사용자가 해당 서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대용량 파일을 로드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때, CDN을 활용하면 콘텐츠를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 CDN 사용 목적- 대기 시간 감소- 네트워크 설계로 인해 발생하는 통신 지연 감소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중간 서버를 두어 효율성을 높임으로서 웹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대역폭 소비를 줄여 전체적인 사용자 환경을 개선한다. CDN 작동 방식 [캐싱]캐싱은 더 빠른 데이터 액세스를..

비동기 방식에 기반해서 효율적으로 백엔드를 설계하는 방법을 찾아보다가MSA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메세지 큐(Message Queue:MQ) 를 이용한 비동기식 처리를 알게 되었다.백엔드에서 입력 후, 사이에 메세지 큐를 둬서 효율적으로 비동기를 설계하는 방식이다.https://xean.tistory.com/156 MQ 메세지 큐란?MQ 메세지 큐란? 메시지 큐는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OM : Message Oriented Middleware)를 구현한 시스템으로 프로그램(프로세스) 간의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메세지는 데이터 패킷을xean.tistory.com 그 중에서도 Kafa에 대해 알아보자. Kafka란파이프 라인, 스트리밍 분석, 데이터 통합을 위해 설계된 고성능 분산 이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