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AWS (29)
Over the limit

2024년 5월 6일 자로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을 취득 완료했다. 이전에 공부하던 자료들, udemy 강의를 참고하여 한달 반의 기간을 잡고 다시 공부했고,직접 aws의 모든 기능들을 실습해보며 이해가 될 때까지 다시 해보고 해보면서 꼼꼼하게 준비한 덕분에 한번에 합격할 수 있었다.자격증을 준비하는 과정동안 SA, 네트워크 지식, AWS 등 다방면의 지식을 다시 복기시킬 수 있었기에 만족.

Amazon Route 53 AWS Route53이란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DNS 웹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www.haru.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192.168.x.x와 같이 컴표터 간 연결을 위한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을 EC2, ELB, S3 버킷 등 AWS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인프라에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주요 특징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기반 DNS 웹 서비스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DNS 레코드 타입과 값 조정 각종 다양한 로드밸런싱 기능 지원 사용자의 요청을 EC2, ELB, S3 버킷 등 인프라로 직접 연결 가능 외부의 인프라로 라우팅하는데 사용 가능 Route 53 트래픽 흐름을 사용하면 ..
RDS backup 1. Automated backups 자동 백업 - 자동 백업을 통해 5분 전 어떤 시점으로도 복구 가능 - 백업 보유 기간 : 1~35일 설정, 0으로 설정하면 비활성화 가능 2. Manual DB Snapshots 수동 db 스냅샷 - 원하는 만큼 보유 가능 - 스냅샷 비용이 rds스토리지보다 저렴하므로 db 사용시 스냅샷을 껐다켰다해서 편법 사용 가능 Aurora backup 1. Automated backups 자동 백업 - 비활성화 불가능 - 지정 시간 복구 가능 2. Manual DB Snapshots 수동 db 스냅샷 - 원하는 만큼 보유 가능 복원 - 복원이 가능한 것 : RDS 및 Aurora백업 또는 스냅샷 - s3로부터 mysql rds 복원 가능 - Aurora는..
ElastiCache란? 분산 인 메모리 캐시(In-Memory-Cache)를 손쉽게 생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읽기 중심의 서비스(소셜 네트워크, 게임, 추천 엔진 등)을 제공해야 하는 환경, 고속으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 환경에 적합합니다. ElastiCache는 두 가지 캐시 엔진을 지원합니다. • Memcached : 유명한 분산 메모리 캐시 시스템입니다. • Redis : String, Hash, List, Set, Sorted Set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제공하는 키-값(Key-Value)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In Memory Cache란?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RAM)에만 올려 놓고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입니다.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RDBMS)는 디스크(HDD,SS..
Aurora란 무엇인가? AWS에서 MySQL PostgreSQL을 기반으로 새롭게 설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클라우드 요소를 집어 넣어 다양한 기술을 제공, 효율일 좋고 고가용성, 안정성을 제공한다. 기존 RDS와 조금 다른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어 여러 장점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Amazon에서 설명하는Aurora Amazon Aurora는 고성능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가용성에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의 간편성과 비용 효율성을 결합하였으며, 클라우드를 위해 구축된 MySQL 및 PostgreSQL 호환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입니다. Amazon Aurora는 표준 MySQL 데이터베이스보다 최대 5배 빠르고 표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보다 3배 빠릅니..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하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AWS의 서비스이다. 유저가 사용하기 쉽도록 인프라 등을 자동화 시켜주고 유저들은 앤드포인트로 접속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는다. RDS 특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Relational Database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oSQL(DynamoDB, DocumentDB, ElasticCache) 차이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안의 내용이 정형화 되어 있고 테이블 간 관계를 중심적으로 보는 DB이다. 가상머신 위에서 동작 단 시스템에 직접 로그인 불가능 -> OS패치, 관리 등은 AWS의 역할, RDS는 Serverless 서비스가 아니다. ..
EBS -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이 가능 - 특정 가용 영역에 한정됨 - ex) gp2 : 디스크 크기가 늘어나면 IO도 함께 증가 io1 : IO를 볼륨 크기와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 - EBS 드라이브 크기에 따라 비용 지불 EFS - 여러개의 가용 영역에 걸쳐 무수히 많은 인스턴스들에 연결될 수 있음 - EFS Mount Target으로 특정 AZ에서 EC2 인스턴스들과 EFS 드라이브를 연결해줄 수 도 있음 - WordPress 같은 웹 사이트 파일 공유 시에도 사용 - EBS보다 비쌈. EFS-IA로 비용 절감 가능. 그래도 사용한 만큼 비용 청구됨

로드 밸런서란? - 서버 혹은 서버셋으로 트래픽을 백엔드나 다운스트림 EC2 인스턴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다운스트림 인스턴스의 장애를 막을 수 있음. 트래픽 조절을 통해 인스턴스 상태를 관리해준다 Elastic Load Balancing - 관리형 로드밸런서. AWS가 업그레이드 등 관리함 - 자체 로드 밸런서 마련보다 저렴하고 확장하기도 편하니 사용하도록 하자 - 유저는 HTTP/HTTPS로 로드밸런서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 포트 80/443, 소스 0.0.0.0/0 AWS 로드밸런서 종류 1. Classic (CLB) 2. Application (ALB) : HTTP, HTTPS, 웹소켓 지원 7계층 리다이렉트/경로 라우팅 지원 마이크로 서비스나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좋은 로드 밸런서 ..
EFS(Elastic File System)란? 관리형 NFS, 즉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여러 EC2 인스턴스에 마운트 될 수 있음. 가용성/확장성/가격 모두 높 파일을 추가/제거할 때마다 스토리지 용량이 탄력적으로 자동 확장 및 축소 Network File System 버전 4.0 및 4.1(NFSv4) 프로토콜 지원 한 리전 내 여러 가용 영역에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저장(페타바이트 규모까지 확장 가능) 강력한 데이터 일관성 및 파일 잠금 지원 파일 시스템 확장에 따라 처리량 및 IOPS가 늘어남 VPC를 Direct Connect와 연결하면 EFS를 On-Premises 환경과 연결 사용조건 및 제약사항 nfs-utils Deamo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Windows가 아닌 Linux 기반 AMI..
EBS, Elastic Block Store 네트워크 usb 스틱! - 인스턴스가 실행 중인 동안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드라이브 - 이걸 사용하면 인스턴스가 종료된 후에도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 특정 영역에서만 사용 가능. 스냅샷을 사용하면 볼륨을 옮길 수 있긴 함 - 다중연결(동일한 EBS 볼륨을 동일한 AZ에 있는 다수의 EC2 인스턴스에 연결) 인스턴스는 16개까지만 +) Delete on Termination attribute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콘솔에서 EBS 볼륨을 생성하면 체크박스로 선택할 수 있음 루트 볼륨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음 EBS Snapshot - EBS 볼륨의 특정 시점에 대한 백업 (권장사항) - 다른 가용 영역/리전에 복사 가능 1. EBS Sna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