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 the limit
[AWS SAA] RDS 본문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하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AWS의 서비스이다. 유저가 사용하기 쉽도록 인프라 등을 자동화 시켜주고 유저들은 앤드포인트로 접속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는다.
RDS 특징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 Relational Database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 NoSQL(DynamoDB, DocumentDB, ElasticCache) 차이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안의 내용이 정형화 되어 있고 테이블 간 관계를 중심적으로 보는 DB이다.
- 가상머신 위에서 동작
- 단 시스템에 직접 로그인 불가능 -> OS패치, 관리 등은 AWS의 역할, RDS는 Serverless 서비스가 아니다.
- 단 Aurora Serverless는 말 그대로 Serverless 서비스이다.
- CloudWatch와 연동
- DB 인스턴스의 모니터링(EC2와 동일 ex: 디테일 모니터링, CPU, Storage 사용량)
- DB에서 발생하는 여러 로그(Error Log, General Log 등)을 확인 가능
- 내부에서는 EC2 활용
- VPC 안에서 동작
- 기본적으로 Public IP를 부여하지 않아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 설정에 따라 Public으로 오픈 가능하다(DNS 접근)
- 서브넷과 보안그룹지정 필요(이를 통해서 방화벽 역할을 수행한다.)
- EC2 타입의 지정 필요
- Storage는 EBS 활용
- EBS 타입의 선택 필요
- 생성시 EBS의 용량을 지정해서 생성(필요한 용량을 미리 지정해야 한다. 물론 추후에 용량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Aurora의 경우에는 미리 지정하지 않고 사용한 양만큼만 지불한다.)
- VPC 안에서 동작
- Parameter Group: Root 유저만 설정 가능한 DB의 설정값들을 모아 그룹화한 개념
- DB 클러스터에 파라미터 그룹을 적용시켜 설정값을 적용
- 마이너 버전 엔진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업데이트 설정 가능
- 기타 업데이트(파라미터 그룹, EBS사이즈, 인스턴스 변경)의 경우 점검시간을 설정하여 특정 시간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다.
아마존에서 말하는 RDS
Amazon RDS를 사용하면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은 시간 소모적인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비용 효율적이고 크기 조정 가능한 용량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해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빠른 성능, 고가용성, 보안 및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AA] ElastiCache (0) | 2023.03.28 |
---|---|
[AWS SAA] Aurora (0) | 2023.03.25 |
[AWS SAA] EBS vs EFS (0) | 2023.03.22 |
[AWS SAA] Elastic Load Balancing (0) | 2023.03.22 |
[AWS SAA] EFS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