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 the limit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본문

Network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ellapk 2024. 8. 30. 15:13

CDN이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빠르게 배포하기 위한 콘텐츠 가속 솔루션이다.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웹 사이트 서버의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이동해야하는데, 사용자가 해당 서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대용량 파일을 로드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때, CDN을 활용하면 콘텐츠를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

 

 

 

 

CDN 사용 목적

- 대기 시간 감소

- 네트워크 설계로 인해 발생하는 통신 지연 감소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중간 서버를 두어 효율성을 높임으로서 웹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대역폭 소비를 줄여 전체적인 사용자 환경을 개선한다.

 

 

 

 

 

CDN 작동 방식

 

 

 

[캐싱]

캐싱은 더 빠른 데이터 액세스를 위해 동일한 데이터의 여러 복사본을 저장하는 프로세스.

CDN에서는 정적 웹 사이트 콘텐츠를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함

 

1.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웹 방문자는 사이트에서 정적 웹 콘텐츠를 '처음' 요청함

2. 요청이 웹 서버 or 오리진 서버에 도달함. 오리진 서버는 원격 방문자에게 응답을 보내고, 해당 방문자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CDN POP에 응답 복사본을 보냄

3. CDN POP 서버는 복사본을 캐싱된 파일로 저장

4. 다음에 해당 방문자가 요청을 하면, 오리진 서버가 아닌 캐싱 서버가 응답

 

 

[동적 가속]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마다 콘텐츠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동적 웹 콘텐츠에서는 캐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동적 가속을 통해 동적 웹 콘텐츠 요청에 대한 서버 응답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CND 사용 이점

 

- 대역폭 비용 절감

캐싱 및 기타 최적화를 통해 CDN이 오리진 서버가 제공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 웹 사이트 소유자의 호스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웹사이트 보안 강화

Ddos 분산 사이트 거부 공격은 대량의 가짜 트래픽을 웹 사이트로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작동 중지 되도록 만든다. CDN은 여러 중간 서버간에 로드를 분산하여, 오리진 서버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트래픽 급증을 처리함.

 

- 페이지 로드 시간 단축

페이지 로드 시간이 너무 느리면, 웹 사이트 트래픽 감소 위험이 있으므로 CDN을 통해 반송률을 줄이고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보내는 시간을 늘릴 수 있음.

 

 

 

 

 

 

참고)

https://www.smileshark.kr/post/what-is-a-cdn-cdn-comparison-analysis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N vs 로드 밸런서  (0) 2024.08.30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란 ?  (0) 2024.08.30
Apache Kafka란?  (0) 2024.08.27
MQ 메세지 큐란?  (0) 2024.08.27
NTP(Network Time Protocol)  (1) 2024.07.14